티스토리 뷰
겨울철 날씨가 추워지고 있는 가운데, 저온화상 환자들이 늘고 있습니다. 이에 저온화상은 왜 생기게 되며, 예방법 및 치료방법에 알아보고자 합니다. 또한 겨울난방에 따른 전열기구에 대한 사용팁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.
저온화상은 몇도?
44도 정도의 온돌/온수매트에서도 6시간 정도가 지나면 깊은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. 겨울철에 전기장판 등을 따뜻하게 해두고 8시간 정도 깊게 잠들게 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의미합니다.
저온화상의 증상
- 저온화상을 입으면 물집이 크게 생기는 경우도 있고, 물집 없이 피부에 가피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깊은 화상의 경우 통증을 느끼게 하는 신경까지 손상된 경우가 많아 오히려 통증이 느껴지지 않기도 합니다.
- 이에 간혹 별 것 아닌 것으로 생각하고 자가 처치하다가 환부가 악화된 상태로 치료받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
- 이에 저온화상이라고 의심이 되면 바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.
전열기구 구매방법 및 사용팁
- 반드시 안전인증(KC마크 및 안전인증번호)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합니다. (온수장판은 안전인증번호 대신 안전확인신고번호 확인)
- 온도조절기는 밟거나 충격을 주지 않는다.
- 전열기구는 콘센트에 다른 제품들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될 위험이 있어서 단독 콘센트를 사용합니다.
- 전기장판은 무거운 물건에 눌리거나 접혀진 채 오래 사용하면 내부 전선이 얽히거나 손상돼 불이 날 수 있어서 잘 확인 후 사용합니다.
- 사용 후에는 반드시 콘센트를 뽑거나 스위치를 꺼서 과열‧합선을 예방합니다.
- 제품의 내부 열선이 꺾이면 합선돼 감전‧화재 위험 커지기 때문에 접지 말고 둥글게 말아서 보관합니다.
- 장시간 보관한 제품은 전선이 벗겨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, 온도조절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 후 사용합니다.
저온화상예방수칙
-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을 자제합니다.
- 반팔‧반바지보다 긴 옷이나 수면바지 같은 두꺼운 옷을 입어서 맨살 접촉을 피합니다.
-전기장판‧온수매트 등을 깔고 잘 경유 담요나 패드를 2~3장 겹쳐 깔아서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을 막습니다.
- 과도한 음주 및 수면제 복용 후에는 감각이 둔해지고 과열에 장시간 노출될 수 있어서 전기장판 위에서 자는 것을 피합니다.
-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보다 가능하면 자주 움직이고, 뒤척입니다.
- 전열기구가 일정 온도에 올라 따뜻해지면 조절기의 온도 스위치를 낮추거나 타이머를 설정합니다.